Loading...
Please Wait... Content Is Loading...

왜 ESG인가?





최근들어 국내 주요기업들의 신년사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ESG 입니다.
현재 ESG는 비즈니스 생태계에서 그 어느때보다 뜨거운 핵심 키워드가 되었으며, 또한 단지 키워드로 그치지 않고 기업들은 ESG전략을 위해서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거기에 맞는 실무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평가기준으로 적용하여 그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바꾸고 있습니다.
 
 

ESG란 무엇인가?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어로 기업의 비재무적인  요소를 말하며, 아래의 구체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환경적요소 :  기후변화, 탄소배출, 대기 및 수질오염, 물부족, 폐기물관리, 동식물 관리, 신재생에너지, 원자재 채굴, 재활용 등의 친환경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2.사회적요소 : 고객만족, 데이터 및 개인정보 보호, 성별 및 다양성인정, 인권, 노동의 요소가 있습니다.
 
3. 지배구조 : 이사회구성, 감사위원회 구조, 부패 정도, 임원성과, 정치기부금등의 요소가 있습니다.
 
 
 

왜 ESG가 뜨는가?

 
기존의 투자자가 기업에 투자할때 그 기업의 매출이나 영업이익등 재무적인 요소들만 보고 투자를 해왔지만 최근들어 그 기준이 정확하지 않다는것을 투자자들이 알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좀더 정확히 그 기업에 대해서 판단해서 투자를 할수 있는냐는 생각에 ESG라는 비재무적인 요소를 통해 기업이 얼마나 친환경적이고 사회에 기여하고 의사결정에 있어서 얼마나 이사회가 독립적이고 투명하게 경영 하는지 등 비재무적 지표를 함께 보았을 경우 기업이 나중에도 계속 매출이나 영업이익이 증가하지만  그렇지 않은 회사는 나중에 문제가 되면 영업이익이나 매출에 문제가 있다는것을 경험을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제 투자자들은 ESG라는 비재무적인 요소까지 포함해서 기존 재무적인 요소와 함게 평가해서 투자를 하겠다고 선언하게 된게 ESG비즈니스가 떠오르게 된 배경이라 볼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BlackRock 이라는 자산운용사가 있습니다. BlackRock은 운용자산 규모가 무려 8조 6800억 달러 우리나라돈으로 약 9천 600조원에 달하는 전세계에서 가장 큰 자산 운용사이며, 우리나라 국내 유수의 대기업들의 대주주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는 BlackRock의 CEO인 래리핑크가 2020년 1월 중대발표를 하게 됩니다.
래리핑크는 앞으로 투자를 결정하는데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이 세가지 지속가능성을 투자에 주요 기준으로 삼겠다고 말하며, 각 기업들에게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 목표에 부합하도록 사업모델에 대한 계획을 공개하라고 요구하였습니다.
넷제로라는것은 탄소중립을 이야기 합니다. 온실가스를 최대한 줄이고 그래도 배출되는 부분은 그만큼 흡수해서 탄소 배출량을 0로 만들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투자 기조를 ESG경영 혹은 ESG투자 라고 이야기 합니다.
 
 
 

기업들의 ESG 경영 및 투자 트렌드

 
현재 코로나 19, 기후위기 등 다양한 이슈 때문에 ESG주 가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작년 전세계 ESG관련 펀드 규모가 1조 달러가 넘었다고 하며, 이런 투자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여러 나라가 나서고 있습니다.
 
영국은 2025년까지 모든 기업의 ESG 관련정보 공시를 의무화 하고, 일본도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를 선언하고 녹색 투자의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ESG 경영정보 공시제도를 만들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의경우 sk는 최태원회장이 직접 ESG를 챙기면서 이미 계열사의 16 곳에 ESG 전담 조직을 만들었고, 국내 업체 최초로 RE100의 가입했습니다.
RE100 이란 필요 전력 모두를 재상 에너지로 만들고자 하는 기업 모임으로 구글과 애플도 가입한 모임입니다.
네이버 역시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친환경 사업에 투자해 탄소 배출량 제로를 넘어 마이너스로 향하는 탄소 네거티브 를 선언했습니다